본문 바로가기
복작복작 지식행성/심리학

심리학 이론-프로이트 <정신분석> 무의식 구조론 성격의 발달단계

by 명랑밍짱 2023. 1. 10.
반응형
  • 심리학 이론을 정리하게 된 이유

미술 심리치료 및 상담심리사 1급 자격을 가지고 있고, 나름 학부 공부를 진심으로 하였던 터라 학점도 높았기에 해당 전공을 살려 매일 조금씩 심리학 관련 포스팅을 해 보려고 합니다. 

 오늘은 발달에 관한 이론 중, 가장 먼저 언급되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 정신분석이 출현하게 된 계기


 프로이트는 철저한 경험주의자였다. 자신이 자기분석을 통해 경험한 것이나 환자에게서 관찰한 것을 정리하여 이론으로 발표했다. 스스로가 직접 경험하지 않은 것은 아무리 그럴 듯해도 받아들이지 않았다. 때문에 그는 타협을 모르는 고집스러운 사람이라는 비난을 받았다. 그래서 융을 비롯한 많은 제자들이 프로이트를 떠나갔다. 특히 그의 유아기 성욕설은 당시 의학계에서 지독한 조롱과 비난을 받았다. 어떤 학자들은 프로이트의 성욕설을 냄새나는 오물에 비유하기도 했다.
 프로이트를 가장 아꼈던 브로이어 박사까지도 성욕설만은 외면했다. 그러나 프로이트는 타협하지 않고 환자가 보여 준 진실을 기초로 자기 이론을 전개해 나갔다. 그 후 100여 년이 지난 현재, 프로이트의 유아기 성욕설은 상식이 되어 버렸지만 당시로서는 혐오감을 주는 내용이었다. 프로이트는 이들의 혐오와 비난 뒤에 숨은 심리적인 저항감을 읽었다.
 브로이어 박사는 안나 오에게 성적인 매력을 느꼈지만 숨기고 있었고, 다른 반대자들도 성욕설을 인정할 때 자신들이 인정하고 싶지 않은 성적 갈등들을 인정해야 했다. 정신분석의 이론을 공부할 때 유아기 성욕이 인간 갈등의 중요한 핵심에 자리잡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간의 성격 발달을 성적 쾌감을 주는 성감대의 이동으로 설명하고 있다.
 입에서 항문으로 그리고 성기로 이동할 때마다 지나친 욕구충족이나 욕구불만이 발생하면, 그 시기에 맞는 특성이 성격으로 고정된다는 것이다. 에디푸스 콤플렉스는 부모와 아이 사이에 일어나는 삼각관계이다. 이성의 부모에게 느끼는 성적인 욕구때문에 생기는 문제인 것이다. 그러나 프로이트는 세상 만사를 모두 성욕으로만 해석하는 범성욕주의자는 아니었다. 프로이트 이론의 극히 초기에 증세의 원인을 주로 성욕에서 찾았지만 그것은 초기의 미숙한 정신분석 이론단계의 일이었다. 그는 성욕 외에도 문화와 종교, 인류학, 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다만 그는 의사이고 자연과학도로서 인간의 정신 현상을 육체적인 욕구나 본능과 관련지어 해석했던 것이다. 지나치게 사변적으로 흐르거나 근거 없는 말잔치를 거부했다. 프로이트는 엄청난 저항에도 불구하고 인간성의 본질에 접근했던 과학자였다. 합리적인 사고방식과 경험을 근거로 생각하는 태도가 그의 힘이었다.
 정신분석의 근간을 이루는 이론들은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지정학설을 비롯하여 정신결정론, 대상관계 이론, 성격구조론 등이다. 

 

 

 

 

  • 의식과 무의식(비의식)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은, 많은 사람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성격 발달과정을 설명하는 유용한 이론으로 평가된다. 프로이트가 가정한 두 개의 심리학적 동기는 성욕과 공격욕으로 모든 행동은 본질적으로 성적 혹은 공격적 충동의 무의식적 표현이라는 것이다. 그는 성욕이나 공격욕과 같은 강하고 원시적인 동기는 무의식이라고 불리는 정신 영역 속에 자리 잡고 있다고 가정하였다. 
 프로이트에 의하면, 각 개인은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심리적으로 성장하기 위한 한정된 양의 정신에너지를 지니고 있다. 아동이 성장함에 따라 이 정신에너지는 성격을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인 원초아(id)와 자아(ego) 그리고 초자아(superego)로 분화한다.

 

 

 

 

  • 구조론

 

 출생 시에 모든 에너지는 원초아 속에 존재한다. 무의식 속에 자리 잡고 있는 원초아는 정신에너지의 일차적 근원으로서 현실의 제한을 받지 않고 쾌락 원리에 따라 만족을 추구한다. 반면 자아는 현실원리에 따라 작용하는 개인의 합리적 측면으로서 원초아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현실적 방법을 모색한다. 프로이트에 의하면 자아는 지각, 학습, 문제해결과 같은 중요한 인지기능에 에너지를 부여하기 위하여 영아기 동안 원초아에서 분화되기 시작한다.
한편 원초아나 자아보다 다소 늦게 발달하기 시작하는 초자아는 개인의 내면화된 도덕적 표준으로 양심과 자아 이상으로 구성된다. 그것은 원초아보다는 현실 지향적이지만 자아보다는 다소 이상 지향적이다. 자아는 초자아를 거역하지 않으면서 원초아의 욕구를 충족시키려고 노력한다.
 흥미롭게도 프로이드는 생물학적으로 결정된 분명한 성격 발달의 단계가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성적 본능의 에너지인 리비도의 집중 부위에 따라 성격 발달의 단계를 구분하였다. 그는 개인의 성격이 인생 초기에 대부분 확립되기 때문에 아동 초기까지의 어린이를 양육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심리성적 단계라고 불리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개의 발달단계를 제시하였다.

 

 

 

 

  • 정신분석에서 보는 발달 단계


  구강기(oral stage), 항문기(anal stage), 남근기(phallic stage), 잠복기(latent period), 생식기(genital period)가 그것이다.
 구강기는 0세부터 약 1시까지의 시기로 구강(입, 입술, 혀)이 성적, 공격적 만족 부위가 된다. 영아는 젖을 빠는 행위를 통해 성적 요구를 충족시킨다.
 항문기는 1세 이후부터 약 3세까지의 시기이다. 이제 항문이 성적으로 가장 흥분되는 시기로서 배설물을 보유하거나 방출하는 데서 쾌감을 얻는다. 대소변 가리기 훈련을 통하여 처음으로 외부로부터 제한과 통제를 받는 경험을 한다.
 남근기는 약 3세부터 5세까지의 시기로 리비도는 항문에서 성기로 옮겨가게 되므로 성기는 사춘기에 나타나는 호르몬의 변화 없이 고조된 성적 민감성을 나타낸다. 이 시기의 아동은 반대 성의 부모에게 강한 매력을 느끼게 되어 남아는 에디푸스 갈등을 그리고 여아는 엘렉트라 갈등을 경험한다.
 잠복기는 약 7세부터 사춘기 시작 이전까지의 시기로 리비도가 무의식 속에 잠복하게 되어 새로운 의미 있는 갈등이나 충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생식기는 무의식 속에 억압되었던 성적 에너지가 의식으로 다시 떠올라 오는 시기로 리비도가 이성에게로 향하며 이성에 대한 진정한 사랑을 경험할 수 있다. 

 

출처: 전생애 발달심리학 제5판 중판발행 제1장 4. 발달에 관한 이론적 조망. 1. 정신분석적 조망 1)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장휘숙저/ 박영사/2018

         정신분석에로의 초대/이무석/도서출판이유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