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작복작 지식행성/심리학

<정신분석> 청소년기 시기 별 신체 성격 발달 분석 과정의 방어기제

by 명랑밍짱 2023. 1. 17.
반응형
  • 청소년기란?

 

 청소년기(10세경~22세 무렵)는 시기적으로 소아기가 끝나면서 성인기가 시작되는 일종의 인생 과도기이다. 한 인간이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인 면에서 어른이 되는 준비를 하는 시기다. 사회인의 기능을 배우는 마지막 준비단계라고 할 수 있다. 청소년기에는 신체적 변화가 급격히 일어난다.

 

  • 청소년기에 일어나는 신체 발달-신체적 변화

 

 사춘기에 접어들면 눈에 띄게 성 호르몬의 분비가 증가되고 신체가 급성장하여 사춘기 말이 되면 성인의 신체가 된다. 특히 남성과 여성 호르몬 분비가 급증하여 2차 성징이 나타나며 성 충동이 강해지고 훨씬 공격적이 된다.

 청소년기는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상 초/중/말기의 3단계로 나뉜다. 

 

  • 청소년 초기/중기/말기 성격 발달

 

 청소년기 초기는 급변하는 신체적 변화에 적응이 필요한 시기로 성욕과 공격성의 증가로 인한 정서적 불안정에 안정적으로 적응하는 시기다. 안나 프로이트는 청소년들이 성적 충동의 증가와 정서적 불안정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지식화, 이상화, 금욕주의, 종교로의 귀의 등을 사용한다고 하였다. 청소년기 초기와 중기는 전적으로 의존했던 부모로부터의 독립적 위치를 찾으려는 노력이 나타난다. 따라서 의존-독립의 갈등이 생겨 부모에 대한 이유 없는 반항이 나타나며 관심이 부모에서 친구로 옮겨지고 이성교제가 시작되어 성적 주체성이 강하게 형성된다. 청소년기 말에는 자아주체성이 확립된다. 나는 누구이고 내 생의 의미와 목적은 무엇인가에 대한 해답을 찾고 여기서 자아주체성의 확립이 이루어진다. 에릭슨은 이 자아주체성의 확립이 청소년기의 궁극적 과제라 했다. 청소년기의 발달과제를 보면 친구와 적절한 관계를 수립하고 남성과 여성으로서의 사회적 성역할을 배우고 부모나 어른으로부터 정서적 독립을 성취하며 자신의 육체와 성에 자신감을 갖고 받아들여 성적 주체성을 확립하여 결혼과 가정생활을 준비하는 것이다. 직업 선택과 직업 준비를 하는 직업적 주체성도 확립하여 경제적 자립을 계획한다.

 청소년기에는 잠재되어 있던 성적 관심과 성충동이 증가하기 때문에 에시푸스 콤플렉스가 다시 출현한다. 그러나 이번에는 어릴 때의 경우와는 달리 육체적으로 성장했고 사정도 가능하기 때문에 근친상간의 위험이 더욱 심각하게 느껴진다.

 이성의 부모와 갈등이 심해지는시기로 위험이 크기 때문에 해결에 대한 욕구도 더욱 강력하다. 지적 능력도 발달했기 때문에 이성의 부모 외에 다른 이성을 발견할 능력도 생긴다. 이성의 부모를 포기하고 다른 이성을 찾아 교제를 시작한다. 그리고 성인으로서 이성교제의 기틀이 마련된다.

 

  • 정신분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방어기제, 지능

 

1. 방어기제의 사용

 정신분석에서는 자아방어를 서서히 약화시킨다. 이렇게 서서히 약화시키는 이유는 비의식의 갈등이 의식으로 나올 때 갑자기 튀어나오면 큰 불안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고, 평소에 유지하던 방어기제가 갑자기 무너지면 정신병에서나 볼 수 있는 강한 1차 과정 사고에 빠지는 일이 생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신분석 적응의 또 하나의 지표는 환자가 주로 사용하는 자아방어의 양상과 효용성이다. 환자가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자아 방어기제의 수가 많을수록 좋다. 어떤 하나의 방어기제에 덜 매달리게 되므로 자아 방어기제의 강도를 약화시키기가 쉬워진다. 이와 반대로 극히 경직된 소수의 방어기제만을 사용하는 경우는 분석과정에서 이 같은 방어가 약화될 때 심각한 혼란과 불안에 휩싸일 가능성이 높다.

 어떤 특정한 방어기제를 지나체게 사용하는 환자는 정신분석에서 치료결과가 좋지 않다. 예를 들면, 투사/전면적인 부정/ 강한 위축 방어에 심하게 매달리는 사람의 기저에는 심한 정신병적인 문제가 숨어 있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므로 ㅓ정신분석에 적당하지 않은 것이다. 정신적 갈등을 행동화를 통해 폭발해 버리는 경향이 있어도 좋지 않다. 특히 투사기제를 쓰면서 행동화가 일어날 때는 통찰적 치료 접근이 극히 어려워지며 때로는 불가능할 수도 있다. 정신병적 상태와 같은 급격한 방어의 붕괴가 있는 경우에 정신분석을 하면 오히려 상태를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방어를 더욱 약화시켜서 심리적 붕괴와 전반적인 혼란을 야기시킬 수 있다.

 

2. 지능

정신분석의 전략과 치료에 요구되는 자기 성찰, 자기 심리의 자각과 의사소통 능력을 고려해 볼 때, 지능이 낮은 사람은 대상이 될 수 없다. 그렇다고 높은 지능이 필요한 것도 아니다. 일반적으로 정신분석은 보통 수준이나 보통 이상 정도의 지능이면 된다.

반응형

댓글